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Tags
- 독서
- BOJ
- 문제풀이
- data structure
- 데이터베이스
- 네트워크
- 프로그래머스
- D3
- algogritim
- 감상문
- c++
- LeetCode
- Database
- swea
- D2
- 재테크/투자
- language
- 자료구조
- cs
- Programmers
- 운영체제
- SW Expert Academy
- algorithm
- db
- network
- 법의학
- Computer Science
- 백준
- OS
- 알고리즘
Archives
- Today
- Total
선택은 나의 것
[프로그래머스] 셔틀버스 (python) 본문
문제
Programmers 2018 KAKAO BLIND RECRUITMENT : [1차] 셔틀버스
코딩테스트 연습 - [1차] 셔틀버스
10 60 45 [23:59,23:59, 23:59, 23:59, 23:59, 23:59, 23:59, 23:59, 23:59, 23:59, 23:59, 23:59, 23:59, 23:59, 23:59, 23:59] 18:00
programmers.co.kr
접근
어려운 문제는 아니지만, 문자열 처리가 까다로우므로 python을 이용해 풀었다.
지난 [SWEA] 7732 시간 개념 문제에서도 말했듯이 시간과 관련된 문제는 비교하기 편하게 가장 작은 단위-이 문제에서는 분(minute)-로 환산해 주는 것이 편하다.
분(minute)으로 환산한 시간 정보를 timetable이라는 배열에 저장해주었다. 그리고 먼저 오는 사람 순서대로 셔틀버스를 탈 수 있기 때문에 정렬해주었다.
이제 셔틀버스의 운행 횟수(n)만큼 for문을 돌면서 콘이 탈 수 있는 제일 늦은 시간을 구해주면 된다.
코드
def solution(n, t, m, timetable):
answer = ""
timetable = [int(time[:2]) * 60 + int(time[3:5]) for time in timetable]
timetable.sort()
last_bus_time = 540 + (n - 1) * t
for i in range(n):
if len(timetable) < m:
answer = "%02d:%02d" % (last_bus_time // 60, last_bus_time % 60)
break
if i == n - 1:
if timetable[0] > last_bus_time:
answer = "%02d:%02d" % (
last_bus_time // 60, last_bus_time % 60)
break
time = timetable[m - 1] - 1
answer = "%02d:%02d" % (time // 60, time % 60)
arrive_bus_time = 540 + i * t
for j in range(m - 1, -1, -1):
if timetable[j] <= arrive_bus_time:
del timetable[j]
return answer
'☽ Algorithm > Programmer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중성화 여부 파악하기 (SQL) (0) | 2020.08.10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카카오프렌즈 컬러링북 (0) | 2020.05.29 |
[프로그래머스] 튜플 (0) | 2020.05.27 |
[프로그래머스] 리틀 프렌즈 사천성 (0) | 2020.05.26 |
[프로그래머스] 파일명 정렬 (python) (0) | 2020.05.23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