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Tags
- data structure
- Programmers
- BOJ
- D3
- 법의학
- LeetCode
- D2
- swea
- c++
- Computer Science
- 재테크/투자
- 알고리즘
- 감상문
- 문제풀이
- network
- 프로그래머스
- cs
- 데이터베이스
- 백준
- OS
- 운영체제
- algorithm
- 자료구조
- 네트워크
- language
- SW Expert Academy
- db
- Database
- algogritim
- 독서
Archives
- Today
- Total
선택은 나의 것
[BOJ 백준] 1766번 문제집 본문
문제
BOJ 1766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766
1766번: 문제집
첫째 줄에 문제의 수 N(1 ≤ N ≤ 32,000)과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에 대한 정보의 개수 M(1 ≤ M ≤ 10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 두 정수의 순서쌍 A,B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
www.acmicpc.net
접근
순서가 정해져 있는 작업을 차례대로 수행해야 할 때 위상 정렬(Topological Sort)을 사용한다. 따라서 이 문제는 위상 정렬을 이용해 문제를 풀었다.
위상 정렬(Topological Sort) 알고리즘에 관해 HeeJeong Kwon 님과 안경잡이개발자 님의 블로그를 참고했다.
이 문제에는 한 가지 조건이 더 있는데, 가능한 쉬운 문제부터 풀어야 한다는 조건이다. 여기서 쉬운 문제란 문제의 번호가 작은 순서이므로 우선순위 큐를 이용해 쉬운 문제부터 풀도록 해주었다.
코드
// BOJ_1766_문제집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queue>
#include <vector>
using namespace std;
priority_queue<int> pq;
vector<int> graph[32001];
int sum[32001];
int main() {
int n, m, u, v;
cin >> n >> m;
for (int i = 0; i < m; i++) {
cin >> u >> v;
graph[u].push_back(v);
sum[v]++;
}
for (int i = 1; i <= n; i++) {
if (sum[i] == 0)
pq.push(-i);
}
while (!pq.empty()) {
int pl = pq.top();
pq.pop();
cout << -pl << ' ';
for (int j = 0; j < graph[-pl].size(); j++) {
int num = graph[-pl][j];
sum[num]--;
if (sum[num] == 0)
pq.push(-num);
}
}
return 0;
}
'☽ Algorithm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OJ 백준] 17090번 미로 탈출하기 (0) | 2020.05.24 |
---|---|
[BOJ 백준] 16954번 움직이는 미로 탈출 (0) | 2020.05.24 |
[BOJ 백준] 16939번 2x2x2 큐브 (0) | 2020.05.21 |
[BOJ 백준] 2210번 숫자판 점프 (0) | 2020.05.20 |
[BOJ 백준] 10951번 A+B - 4 (0) | 2020.05.19 |
Comments